연금술사
[국내주식 공부] "이자보상배율"(한계기업)을 알아보자. 본문
초보 투자자 입장에서 주식을 공부해보면, 모르는 것들이 참 많습니다.
그래서 '주식' 투자 관련 책들을 종종 읽으면서 다양한 경제용어나 개념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매월 노동의 힘으로 생긴 수익 중 얼마 남지 않는 여유돈으로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돈'이 너무나 소중하고, 이런 소중한 '돈'이 잘못된 투자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업의 '재무제표'나 '실적 분석'에 많은 관심이 가는 것 같습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 알아야 할 용어가 많이 있지만, 오늘은 '이자보상배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뉴스를 조금만 검색해봐도 이자도 제대로 갚지 못할 만큼 어려운 상장 기업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주식 투자'가 '투기'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재무상황을 꼼꼼하게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저는 투자 전에 기업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자보상배율'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이자보상배율' 은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나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언론보도를 살펴보면,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기업을 '한계기업, 좀비기업'(재무구조가 부실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라는 용어로 표현하고 있는데, 해당 종목에 대한 투자 전에 반드시 확인하고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자보상배율 알아보기
"이자보상배율" 이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이다.
기업이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산출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이면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를 지불하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는 의미이다.
1 보다 크다는 것은 영업 활동을 통해서 번 돈이 금융비용을 지불하고 남는다는 의미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면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이익으로 금융 비용조차 지불할 수 없기 때문에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이자보상배율"을 계산하는 법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 비용"입니다.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이면 이자 비용도 감당하기 힘들다는 의미로 상습적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상태가 지속되는 (재무 구조가 취약한 기업) 경우 투자를 할 때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으로 수년간 지속될 경우 주가의 급락이나, 상장폐지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투자에 앞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입니다.
간단하게 이자보상배율 확인하는 방법
⊙ "이자보상배율" 확인하는 방법 : "네이버 → 네이버 금융 → 종목 검색 ((예) 현대로템 → 종목분석 → 투자지표 → 안정성" 순서로 검색하면 누구나 어렵지 않게 해당 종목의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애용하는 '네이버 금융'에서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이자보상배율'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포스팅을 하면서 저 스스로도 관련 책을 한 번 더 읽어보고, 더 부지런히 공부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2020. 12. 10. 초보 투자자의 투자 공부를 기록으로 남깁니다.
'경제를 공부합니다. > 국내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투자] '청담러닝' 주가 (+ 배당금) (1) | 2020.12.14 |
---|---|
[국내주식 투자] 'LG유플러스' 주가와 배당금을 알아보자 (2) | 2020.12.11 |
[국내주식 투자] '현대해상' 주가를 알아보자 (+ 배당금) (1) | 2020.12.05 |
[국내주식 투자] ‘BNK금융지주 주식’ 주가와 배당금을 알아보자 (0) | 2020.11.29 |
[국내주식 투자] '현대리바트 주식' 주가 (+ 배당) (0) | 2020.11.28 |